지역낙후도 지수
지역낙후도 지수는 시, 군 지역의 여러 지표를 가중평균하여 낙후 정도를 산정한 값입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예비타당성조사의 지역균형발전 항목을 평가하기위해 만들었습니다. 적용
t-eng.tistory.com
'지역개발사업에 관한 업무지침(국토교통부, 2003)'의 8개 지표를 활용한 기존의 지역낙후도 지수는 사회경제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새로운 지역낙후도 지수를 산정하여 발표했습니다. 원지표는 2019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발표한 균형발전 지표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기본 생활여건, 기타 경제활동 여건, 기타 여가향유여건의 세 개 요인으로 통합하여 지역낙후도 지수 및 순위를 산정했습니다.
<지역균형발전 지표>
광역단위 지역낙후도 지수 및 순위, 시군별 지역낙후도 지수 및 순위는 첨부 보고서의 부록(166쪽~170쪽)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타당성평가에서의 지역낙후도 분석 개선방안 연구(기획재정부/한국개발연구원, 2020.10)
타당성평가에서의 지역낙후도 분석 개선방안 연구_기획재정부_한국개발연구원_2020_10.pdf
6.53MB
'교통 > 교통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사업 타당성 조사의 일자리 창출효과 계산 (0) | 2022.01.26 |
---|---|
도로 관련 상위 계획 (0) | 2021.09.29 |
지역낙후도 지수 (0) | 2021.04.23 |
교통관련 법정 계획 (1) | 2017.03.24 |
인구 및 교통량의 연평균 증가율 계산하기 (1) | 2016.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