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용량편람(2013)에서는 4개 유형의 도로(고속도로, 다차로 도로, 2차로 도로, 도시 및 교외간선도로)와 4개 유형의 교차로 (신호교차로, 연결로-일반도로 결합부, 비신호 교차로, 회전 교차로), 3개 유형의 대중교통 및 보행시설 (대중교통, 보행자 시설, 자전거 도로)에 대한 용량 및 서비스 수준 산정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도로 유형에서 고속도로와 2차로 도로는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단, 2차로 도로의 3개 유형 중 유형 3은 도시 및 교외간선도로를 적용합니다.
다차로 도로와 도시 및 교외간선도로에 대한 정의 및 특성을 살펴보겠습니다.
1) 다차로 도로
- 고속도로와 함께 지역간 간선도로 기능을 담당하는 양방향 4차로 이상의 도로
- 확장 또는 신설 일반국도가 주로 해당
- 완전 출입제한 도로 아님
- 평균 신호교차로 간의 거리 2km 이상
- 신호등 밀도 기준치를 초과하면 도시 및 교외간선도로에 해당
2) 도시 및 교외 간선도로
- 도시 내외의 주요 지점 간을 연결하는 편도 2차로 이상의 도로
- 대량 통과교통을 주로 처리
- 신호 교차로간 거리 3km 이내

위의 그림에서 신호교차로간 거리가 2km 이내면 도시 및 교외 간선도로, 3km 이상이면 다차로 도로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신호교차로 간 거리가 2km 이상, 3km 이내인 도로는 도로의 기능에 따라 다차로 도로 또는 도시 및 교외 간선도로로 분석할 수도 있습니다. 도로의 기능은 분석가에 따라 달리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동성이 주 기능인 국도 및 지방도의 시외 구간, 특별시도, 광역시도는 다차로 도로를, 접근성이 주 기능인 국도 및 지방도의 시내 구간, 시도는 도시 및 교외간선도로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교통 > 교통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속도로 VDS 자료로 휴게소 교통량을 구할 수 있을까? (0) | 2022.07.27 |
---|---|
교통 빅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 링크 모음 (0) | 2022.07.13 |
View T를 이용한 혼잡도로 구간 분석 (0) | 2022.07.06 |
구글어스와 Shadow Calculator로 음영분석 하기 (0) | 2022.06.20 |
교통량 조사의 차종 구분 기준 (0) | 2022.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