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교통공학

View T를 이용한 혼잡도로 구간 분석

by 교통과의 대화 2022. 7. 6.

도로교통량 통계연보 조사 지점이거나 TOPIS 조사지점, 고속도로 교통정보 수집 지점이 아닌 도로 구간을 검토하려면 현장조사부터 해야 합니다. View T를 이용하면 짧은 시간에 개략적으로 검토할 수 있습니다. 

 

View T

View T는 국가교통조사사업의 일환으로 개발한 모빌리티 데이터 기반의 분석 도구입니다. 다양한 BigData - 차량 GPS 자료, 모바일 통신 자료, 대중교통 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최근 기준년도는 2019년입니다. 상세한 정보는 국가교통조사 보고서 제9권을 참고하세요.

제9권 모바일 교통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z01
19.53MB
제9권 모바일 교통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zip
15.55MB

View T는 KTDB 홈페이지와 별도로 회원가입을 해야 합니다. 별도의 승인 절차는 없으니 회원가입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viewt.ktdb.go.kr/cong/map/second_map.do

 

대한민국의 이동을한눈에 볼 수 있는 곳, View-T

View-T 3.0은 사용자에게 통행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viewt.ktdb.go.kr

 

혼잡구간 도로 분석

정체가 발생하는 선동IC 주변을 대상으로 [혼잡도로 선정]을 실행했습니다. 평일/주말, 시간대, 교통량 및 속도의 혼잡 기준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전체 시간을 대상으로 일부 시간 혼잡이 발생하면 혼잡구간으로 설정하고 혼잡기준은 기준값을 따랐습니다. 

 

 

선동IC 구간을 확대해 보면, 선동IC에서 좌회전하여 올림픽대로에 진입하는 구간과 서울양평 고속도로에서 유턴하는 구간이 혼잡구역으로 나옵니다. 

[혼잡도로 출도착지 분석] 메뉴를 선택하고 위에서 찾은 선동IC 하부도로 한강방향 구간을 분석 대상으로 선택합니다. 하남시 미사 주변에서 많이 들어오고 올림픽대로로 많이 빠져나갑니다. 

 

개별 링크를 선택하면 유입, 유출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입유출량의 합계가 맞지는 않지만 대략적인 통행비율과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현장 조사 없이 빅데이터를 이용해 교통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도구입니다. 자료의 갱신 주기가 빨라지고 정확도와 안정성이 올라간다면 기초적인 교통분석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