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별 기관의 입찰 정보
국내 공적원조(ODA)기관은 한국수출입은행과 한국국제협력단입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차관사업을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국제협력단은 무상원조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차관사업과 무상원조 사업을 JICA에서 통합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사업의 중복 방지나 효과적인 원조를 위해서는 공적원조사업의 통합이 필요해 보입니다. 개별 사업의 입찰 정보는 각 기관의 홈페이지에서 공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에서 관리하는 기금은 대외경제협력기금입니다.
http://www.koica.go.kr/join/odajoin/tender/index.html
아시아 개발은행(ADB)의 공적원조사업은 원조를 받는 해당국에서 공고를 합니다. 단, 기술지원(TA, Technical Assistance)은 ADB에서 직접 발주하고 관리합니다. 입찰 전의 프로젝트 개발 및 승인 등 프로젝트 진행에 관한 사항은 ADB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종합 입찰 정보 제공(국내기관)
국내에서 해외의 차관사업 입찰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는 꽤 많습니다. 하지만 토목분야의 도로사업이 제대로 나오는 곳은 많지 않습니다. KOTRA 지역본부, 현지 대사관, 현지 언론사 등의 정보를 검색하여 종합해야 프로젝트 대상을 간추릴 수 있습니다.
아래는 참고할만한 입찰정보 제관사이트입니다.
컨설턴트로 등록하고 승인을 받아야 조회가 가능합니다.
해외 각 국의 조달시장 정보를 제공하며, 조달시장의 특성상 물품에 대한 비중이 높습니다.
3. 종합 입찰 정보 제공(해외)
1) ONBID
각 국 정부에서 발주하는 사업의 입찰정보를 제공합니다. 무료 제공으로 이용에 제약이 없습니다. 다만 아시아의 입찰정보가 적은 편이고, 토목관련사업의 내용이 많이 보이지 않습니다.
2) dgMarket
해외경쟁입찰(International Competition Bidding)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프로젝트의 요약 정보는 무료로 검색할 수 있으나 세부 정보는 유료결제를 해야 볼 수 있습니다.
dgMarket(http://www.dgmarket.com/)
Basic : 1년에 440달러, 한달에 25건 세부정보 접근 가능
Full : 1년에 800달러, 한달에 500건 세부정보 접근 가능
3) Global Tenders
dgMarket처럼 해외경쟁입찰(International Competition Bidding)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비용은 dgMarket보다 비쌉니다. 시험 사용(Trial)에도 비용을 부과합니다. Basic Trial 한달 179달러, Premium Trial 한달 399달러입니다.
Basic : 1년에 1349달러
Regular : 1년에 1619달러
Premium : 1년에 4029달러
캄보디아에서 발주한 ODA 프로젝트를 3개 사이트에서 검색해 봤습니다.
- 온비드 10건
- 디지마켓 0건
- 글로벌 텐더스 75건
요약 정보만으로 판단했을 때, 글로벌 텐더스 가장 많고 좋은 정보를 보여주었습니다. 일정 비용을 내고 간편하게 입찰정보를 확인하려면 글로벌텐더스와 같은 입찰정보제공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전체적인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면 시간이 많이 걸려도 관련국의 홈페이지와 언론, 원조기관을 두루 검토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방법입니다.
'해외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B 사업 도로 안전진단(Road Safety Audit) 매뉴얼 (0) | 2020.07.21 |
---|---|
KML로 구글어스에서 사업노선의 경로정보 공유하기 (0) | 2015.12.21 |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타당성조사 사업 발굴 (0) | 2015.03.19 |
한국의 ETCS 영문 홍보자료 (0) | 2015.03.19 |
ADB에서 권장하는 영문 보고서 쓰는 방법 (0) | 201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