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Aisan Development Bank) 사업에서 도로 안전진단의 업무범위는 과업지시서(TOR;Term of Reference)에 나옵니다. 공사 전, 공사 중, 공사 후 각각 몇 회를 실시할 지, 어떤 기준을 따를 지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간혹 기준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ADB 사업의 도로안전진단 기준은 계약서나 과업지시서에서 따로 지정하지 않는 한 ADB 가이드라인이나 현지국의 규정을 따릅니다. 원조를 받는 나라들 대부분이 도로안전에 대한 규정이 제대로 정비되어 있지 않습니다. 오래 된 가이드라인이나 외국의 규정을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아 보통 ADB의 가이드라인을 따릅니다.
1) ADB 가이드라인(2003)
예전에 썼던 가이드라인은 Road Safety Audit for Road Projects: An Operational Tool Kit 입니다. 2003년 ADB에서 발간한 보고서입니다. 도로 안전진단의 개요와 팀 구성, 절차와 수행 내용 등을 간단하게 13쪽 분량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세번째 부록으로 도로 안전진단 각 단계별 Checklist가 있습니다.
2) CAREC, ADB 가이드 라인(2018)
2018년에 중앙아시아 지역경제 협력체(CAREC; Central Asia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와 ADB가 Road Safety Engineering Manual을 발간했습니다. 그 중 첫번째 매뉴얼이 Road Safety Audit입니다. 진단 수행 단계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고, 중앙아시아에서 수행한 진단 사례를 수록했습니다. 체크리스트도 기존 문헌과 사례를 참고하여 단계별로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3) 호주 가이드라인(2019)
간혹 발주처에서 호주 기준을 따르라고 요구하기도 합니다. 아래 이미지는 호주 Austroads의 Road Safety Audit 관련 링크입니다. 회원가입에 제약이 없으니 회원가입하고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해외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자막 파일의 GPS 정보를 구글맵/ 구글어스에 표시하기 (0) | 2021.09.14 |
---|---|
구글 문서 - 태국어 문자 인식하고 번역하기 (0) | 2021.01.21 |
KML로 구글어스에서 사업노선의 경로정보 공유하기 (0) | 2015.12.21 |
해외 프로젝트 입찰 정보 검색하기 (0) | 2015.03.23 |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타당성조사 사업 발굴 (0) | 2015.03.19 |